병술에게 부자가 된다거나, 인기가 많아진다거나 하는 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그 속에서 기어코 결핍을 찾아내는 것이 병술일주이기 때문이죠.
어째서 병술일주들은 항상 고독함을 느낄까요? 어떤 것이 병술일주의 공허함을 채워줄 수 있을까요?
오늘 글이 그들의 끝없는 공허함을 채워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평가절하 당하고 있지 않을까?」
병술일주는 편관(偏官)인 병화(丙火)에 술토(戌土)가 식신(食神)으로 들어옵니다.
정재(正財)와 겁재(劫財)를 지장간으로 두고 있어 일주의 안정성이 뛰어나죠.
병화의 밝고 따듯한 성질 덕에 매사 긍정적이고 밝은 기운을 가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사람들 앞에 설 때만이고, 혼자 있을 때만은 한없이 고독해지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내가 사람들에게 평가절하 되고 있진 않을까?'란 생각에 지배되는 병술일주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술토가 가진 신금이 병화의 기운을 빼앗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십이운성 묘(墓)의 작용과 지장간 겁재의 영향 때문입니다.
항상 무엇인가 뺏길 것 같다는 불안감과, 그렇기에 내가 먼저 빼앗아야겠다는 조바심이 동주하게 되는 것이죠.
필요 이상으로 세상을 삐딱한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 병술일주인 겁니다.
인성(印星) 임(壬), 계(癸), 해(亥), 자(子)가 있으면 조금은 편할 수 있습니다.
배워놓은 지식과 기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외부보단 내부를 채워야 병술일주의 불안을 끝낼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최소한의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건 가정을 꾸리는 겁니다. 스스로를 안정시킬 수 없다면 가정의 안정에서 오는 기운으로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습니다.
문제없이 살아가는 병술일주를 보면 가정에 큰 애착이 있거나, 배우자와 함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고독함과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마음을 채워나가야 하는 병술일주는 더욱 그럴 거에요.
긍정적인 말씀을 드리자면 채울 것이 많은 시대란 겁니다.
적은 노력으로도 여러분의 마음을 채울 수 있는 무엇인가를 찾길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주나루였습니다.